요즘 대학마다 영어로 진행하는 강의 ‘영어강의’ 열풍이 불고 있다. 찬반양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지만 대세는 영어강의의 증가인 듯하다. 많은 대학이 경쟁적으로 영어 강의를 늘리고 있을 뿐더러, 모 대학은 강의 뿐 아니라 학사 업무 전반에 걸쳐 영어를 공용화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취업시장에서 영어실력은 필수 ‘스펙’으로 꼽히는 현실과 다양한 분야의 학문에서 영어가 공용어인 현실을 볼 때 영어강의의 비율을 늘이려는 움직임을 마냥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 유학 보내지 않고도 글로벌 인재로 육성하겠다는 비전도 긍정적이다.
하지만 맹목적으로 영어강의의 수를 증가시키기 이전에 영어강의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강의의 기본은 효과적인 지식 전달이다. 학부 강의의 경우 그 대 부분이 학생들이 처음 접하는 새로운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에 들어오는 학생 가운데 해외에서 장기간을 지낸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학생은 많지 않다. 모국어로도 이해하기 어려운 새로운 개념을 능숙치 않은 외국어로 강의를 듣고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해외 유학생활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또한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의 영어 능력도 문제이다. 유학 경험이 있는 교수 중 대다수가 영어권 국가의 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다. 그러나 원어민이 아닌 이상 그런 해외파 교수들에게 있어서도 영어를 통해 새로운 개념을 전달하고 자유자재로 설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기본적인 내용 전달도 버거운데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강의기법까지 발휘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영어가 능숙하지 않은 사람들 간에 의사소통은 가능할지 모르나 그것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것은 겪어 본 사람은 알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의를 하는 교수나 그런 강의를 듣는 학생 입장에서는 지식의 전달과 습득이 주가 아닌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에 대한 노력이 주가 되는 것이다. 당연히 강의 효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당연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모든 학교가 열심히 영어강의를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의문이다. 교수도 학생도 준비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영어강의가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지 의문스럽다. 학생들이 북미에 유학을 가도 영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먼저 ELS나 그에 상응하는 코스를 거치게 하는 것은 영어강의를 충실히 따라갈 수 있도록 교육하는 준비과정이다. 학생들의 영어 능력 배양이 목적이라면 그 목적에 충실한 별도의 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만약 영어강의 실행의 목적이 대학평가에서 국제화 지표를 높이는 것이라면 차라리 영어 원어민 교수를 채용하여 유학을 온 외국인 학생을 가르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물론 영어강의 무용론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영어강의가 필요하고 오히려 도움이 된다. 그러나 영어강의의 무조건적인 증가는 옳지 않다. 극단적인 예로 일어를 영어로 가르치는 코미디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영어 향상을 위해서 강의 본연의 목적을 저해해서도 안 된다. 영어강의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면 영어강의의 실제 효용성을 따져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먼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김현수 교수┃자연대·물리

 

저작권자 © 전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