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스위스의 국제경영개발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of Management Development)의 ‘세계 경쟁력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경쟁률은 55개국 중 53위, 대학 이수율은 55개중 4위이다. 이는 교육의 열정은 세계 최상위임에도 질적인 면에서는 최하위임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전년도 국가의 총 교육재정은 40조원, 사교육비 규모는 20조원, 외국 유학비는 10조원으로 총재정으로 보면 공교육과 버금가는 사교육비 지출은 매우 두려운 수준에 이르렀고, 한편으로 국가의 총 교육재정 중에서 국가 정책으로 추진해야 할 고등교육의 투자는 OECD 국가들의 수준으로 환산하면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고등교육 대상과 지방의 인구 감소, 저출산으로 인한 산업인력의 노령화, 서울 사립대학들의 지방 분교설립, 외국의 명문대학들의 국내 분교설립 등의 변화는 곧 지방대학의 존립을 위협함으로써 지역발전은 물론이고 국가발전의 위기를 확산시키고 있다. 교육은 사회개혁기능 뿐 아니라 국가목표의 주요한 축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국가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목표에 벗어나고 있는 고등교육의 위기를 지방 거점국립대학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 거점국립대학의 등록금을 완전 무료가 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현재 세계 100위 이내 대학은 서울대와 KAIST인데 이들은 엄청난 국가의 행재정 지원을 받은 대학들이다. 지금 거점국립대학들이 처절하게 노력하고 있는 터에 위의 두 대학처럼만 행재정 지원을 한다면 수년 안에 모두 100위 이내에 진입할 수 있는 의지와 인적 자원이 충분하다. 둘째로 국립대학 졸업생의 취업할당제만 되면 서울로 쏠리는 젊은이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해결하여 사회적 역기능을 막아 아무리 많은 재정을 투자해도 해결할 수 없는 수도권의 난제를 해결하고 굴종과 비방과 원망이 난무하는 지방의 사막화를 해소할 수 있다.
  셋째로는 지방 거점국립대학의 기초과학과 인문과학분야의 교육과정을 집중 육성하여 모든 학문의 기저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국립대학마저도 기초 학문을 멀리 한다면 정부는 단기적으로 성공하겠지만 100년 후의 국가는 설 자리가 없다. 대학생이 이수할 수 있는 거의 모든 학문의 영역을 중등학교에서 이해치 못하고 입학한 기초 미 이수자의 대학생 때문에 대학들은 열병을 앓고 있는데 정부는 모른 체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기능성을 구분하여 사립대학과 국립대학, 수도권과 지방, 연구와 교육중심, 종합대학과 전문대학 등으로 개편하고 평가를 통한 역할과 기능을 차별화해야 될 것이다. 지방 거점 국립대학의 각고의 성과는 세계 연구논문의 점유율이 10년 전에 비하여 두 배로, SCI와 지적 재산권은 약 20배 증가하였는데, 우리대학의 전년도 상승률이 국내 10위권에 진입한 것이 그 사례가 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방 거점국립대학이 미흡하다고 눈총을 받고 객관적 한계를 드러내는 것은 정부의 고등교육에 대한 정책 미흡과 행재정 지원이 절대적으로 열악한 이유이며, 어찌 해보지도 못하고 머뭇거리는 지방 거점국립대학의 현주소이다

저작권자 © 전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